두 번째 프로젝트: 소개팅 연락 평가 (3편/完) - 이제는, 마케터가 될 시간

소개팅 연락 평가 홈페이지

지난 2편에서 저희는 예상치 못한 바이럴과 함께 수많은 친구들의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이거 진짜 대박이다"라는 칭찬과 함께 쏟아지는 개선 아이디어들. 저희는 이 뜨거운 반응을 외면할 수 없었습니다. 그렇게 저희의 계획에 없던, 하지만 가장 중요했던 세 번째 밤샘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3차 해커톤의 목표는 단 하나, 사용자들이 다시 찾아오게 만들자였습니다. 이를 위해 저희는 피드백의 핵심이었던 다양성오락성을 증진시키는 데 모든 것을 걸기로 했습니다.

가장 큰 숙제: 한 명이 아닌 모두를 위한 재미

테스트 버전의 가장 큰 문제는 명확했습니다. 저희가 설정한 '하나의 가상 인물'은 처음에는 신선했지만,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상대와 대화하다 보니 금세 패턴이 읽히고 흥미가 떨어졌습니다. 무엇보다, 세상에 모든 사람을 만족시키는 단 하나의 이상형이 존재할 수 없듯, 모두를 만족시키는 단 하나의 가상 성격을 프롬프트로 만드는 건 말이 안 되는 일이었습니다.

사용자들은 각자 다른 성격의 상대와 대화하고 싶어 했습니다. 이 '다양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이번 여정의 핵심이었습니다.

해결책 1: MBTI, 16개의 페르소나를 불어넣다

저희는 수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또 가장 과몰입하는 성격 프레임인 MBTI를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제 사용자는 활발하고 사교적인 ENFP와 대화할 수도, 신중하고 논리적인 ISTJ와 대화할 수도 있게 됩니다. 저희는 16개 MBTI 유형별 특징을 시스템 프롬프트에 녹여내, 각기 다른 개성을 가진 16명의 가상 상대를 만들어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대화 상대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저희는 단번에 다양성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선택권을 극대화했습니다.

해결책 2: AI가 그려낸 가상의 얼굴

오락성과 몰입도를 한층 더 끌어올리기 위한 무기도 준비했습니다. 바로 AI 이미지 생성 기술을 활용한 가상 프로필 사진입니다. 각 MBTI 페르소나에 어울리는 가상의 얼굴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이죠. 텍스트로만 존재하던 대화 상대에게 얼굴이 생기자, 사용자들은 훨씬 더 깊게 몰입할 수 있었습니다.

다행히 저희가 시도한 두 가지 기술 개발은 완벽하게 성공했습니다. MBTI 유형별로 개성 있는 답변을 내놓았고, 생성된 프로필 사진 또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더할 나위 없는 성공이었습니다.

마지막 현실의 벽: 그래서, 얼마를 벌어야 할까?

모든 개발을 완료하고 환호하던 순간, 저희는 마지막으로 차가운 계산기를 두드렸습니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한 번 이용(대화 분석 1회)할 때마다 발생하는 토큰 비용. 저희가 모든 최적화를 마친 결과, 사용자 한 명당 약 1.5원의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 이 숫자는 저희에게 남겨진 마지막 숙제입니다. 지금의 광고 모델로 과연 이 비용을 감당하고 수익을 낼 수 있을까? 1.5원이라는 비용은 아직도 저희에게 개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이제, 개발자에서 마케터로

길었던 세 번의 밤샘이 끝났습니다. 저희는 이제 이 서비스를 세상에 내놓으려 합니다. 기술 개발은 성공적으로 끝났고, 저희 손에는 자랑스러운 결과물이 들려있습니다.

하지만 저희는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코드 에디터를 잠시 내려놓고, 새로운 공부를 시작할 시간이라는 것을요. 1.5원의 비용을 넘어서는 가치를 어떻게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또 어떻게 수익으로 연결할 것인가?

우리의 다음 스텝은 마케팅입니다. 개발자로서의 여정은 일단락되었지만, 이제는 마케터로서 이 서비스를 성장시켜야 하는 새로운 챕터가 저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